[미국배당주] 글로벌 헬스케어 배당주 애브비(ABBV) 분석 – 2/5/8/11월 배당주 ①

본 포스팅은 개인공부/정보공유 차원에서 작성되었으며 판단은 각자의 몫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1/4/7/10월 배당주에 대해서 분석을 해보았었습니다.
[미국배당주] 글로벌 제조 산업의 숨은 강자, 일리노이툴웍스(ITW)분석 – 1/4/7/10월 배당주 ①
[미국배당주] 고배당주로 유명한 말보로 담배회사, 알트리아 그룹(MO)분석 – 1/4/7/10월 배당주 ②
[미국배당주] 워렌버핏이 사랑한 세계최고 음료기업, 코카콜라(KO)분석 – 12/4/7/10월 배당주 ③
[미국배당주] 60년간 높은 배당 성장률을 보여준 보험주, 신시내티 파이낸셜 (CINF)분석 – 1/4/7/10월 배당주④
이번에는 2/5/8/10월 배당주에 대해 엄선해보려 합니다.


[1] 애브비(ABBV) 주목이유

그림 1. 2/5/8/11월 배당하는 배당킹 목록 – 파란색(좋음), 초록색(중간), 빨간색(나쁨)

배당킹 중에서 2/5/8/11월에 배당하는 기업은 위의 13기업입니다.

기업명비고란
Air Products and Cehmicals (APD)수소로 굉장히 유명한 기업. 시가총액, 장기주가상승, 연간배당률 2.65%, 배당성장률 5.67%로 무난하지만 큰 투자 매력 포인트가 없어보임
Nucor Corp (NUE)배당성장률이 8.16%로 높으나, 연간배당률이 1.91%로 낮고 무엇보다 최근 1년간 주가가 41%나 하락하였음. 베타 값이 1.68로 매우 커서 배제
AbbVie (ABBV)브랜드 파워, 400조의 매우 큰 시가총액, 장기 투자 상승률, 연간배당률 3.65%, 배당성장률 6.04%로 아주 우량한 배당주
Lowe’s Companies Inc (LOW)181조의 큰 시가총액, 장기 주가상승률도 좋으며 연간배당률은 2%대이지만 3년 평균 배당성장률이 14.89%로 아주 성장이 유망한 배당주
Abbott Laboratories (ABT)브랜드 파워, 320조의 시가총액, 장기 투자 상승률을 보여줌. AbbVie와 연관이 있는 회사이며 배당 성장률이 무려 7.17%. 연간 배당률은 1.86%로 살짝 아쉬움
Universal Corp (UVV)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주가가 횡보하는 경향을 보여 배제
H.B. Fuller Company (FUL)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주가가 횡보하는 경향을 보여 배제
ABM Industries Inc (ABM)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주가가 횡보하는 경향을 보여 배제
Hormel Foods Corp (HRL)스팸으로 유명한 호멜푸는 브랜드 파워가 있으나, 주가가 횡보하는 경향을 보여 배제
California Water Service Group (CWT)연간배당률, 배당성장률도 준수하지만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아 배제
Colgate-Palmolive Co (CL)3년 평균 배당성장률이 3.57%로 인플레이션을 이길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됨
Procter & Gamble Co (PG)브랜드 파워, 553조의 시가총액, 장기투자 상승률, 배당률 2.47%, 3년 평균 배당성장률 4.99%로 아주 대표적인 배당주
Northwest Natural Holding Co (NWN)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주가가 횡보하는 경향을 보여 배제

위와 같은 사유로 2/5/8/11월 배당주로서 ① AbbVie (ABBV) ② Lowe’s Companies Inc (LOW) ③ Abbott Laboratories (ABT) ④ Procter & Gamble (PG)를 주목하였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AbbVie (ABBV)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2] 애브비(ABBV) 기업소개

그림 1. 미국 일리노이 주에 위치한 애브비(ABBV) 본사

애브비(AbbVie, ABBV)는 2013년 아보트 래버러토리스 (Abbott Laboratories)에서 분사하여 독립한 연구 중심의 글로벌 바이오 제약 회사입니다. 현재는 아보트 래버러토리스보다 시가총액도 약 400조로 더 크니 청출어람했다고 할 수 있죠. 아보트 래버토리스 또한 다음에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애브비의 본사는 미국 일리노이주 노스시카고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약 30,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애브비는 면역학, 종양학, 신경과학, 안과학, 바이러스학, 여성 건강 등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백혈병 치료제 ‘임브루비카(Imbruvica)’, ‘벤클렉스타(Venclexta)’ 등이 있습니다.


[3] 애브비(ABBV)의 주력 제품

그림 2. 애브비(AbbVie)의 주력 제품군들

① 휴미라 (Humira)

  • 성분: 아달리무맙 (Adalimumab)
  • 질병: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건선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 특징: TNF-α 억제제로, 한때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약물 중 하나였습니다. 최근 2023년에 휴미라의 특허 만료로 매출이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요한 수익원입니다.

② 스카이리치 (Skyrizi)

  • 성분: 리산키주맙 (Risankizumab)
  • 질병: 중증 판상 건선, 크론병 등
  • 특징: IL-23 억제제로, 휴미라의 후속 제품으로 개발되었습니다. 2023년 4분기 매출은 약 5.5조 원으로, 전년 대비 50% 증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③ 린보크 (Rinvoq)

  • 성분: 우파다시티닙 (Upadacitinib)
  • 질병: 류마티스 관절염, 아토피 피부염, 강직성 척추염 등
  • 특징: JAK 억제제로, 경구용 약물입니다. 2023년 4분기 매출은 약 2.7조 원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하며 스카이리치와 함께 애브비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④ 임브루비카 (Imbruvica)

  • 성분: 이브루티닙 (Ibrutinib)
  • 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맨틀세포 림프종 등 혈액암
  • 특징: BTK 억제제로, 얀센과 공동 개발하였습니다.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약가 인하 압력을 받고 있으며, 2023년 매출은 약 5조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⑤ 벤클렉스타 (Venclexta)

  • 성분: 베네토클락스 (Venetoclax)
  • 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등
  • 특징: BCL-2 억제제로, 혈액암 치료에 사용됩니다. 임브루비카와 함께 애브비의 종양학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⑥ 보톡스 (Botox)

  • 성분: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A형 (OnabotulinumtoxinA)
  • 질병: 미용 목적의 주름 개선, 만성 편두통, 과민성 방광 등
  • 특징: 2019년 앨러간 인수를 통해 확보한 제품으로, 미용 및 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미용과 치료 부문에서 각각 약 3조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4] 휴미라(Humira)의 특허만료

그림 3. 휴미라(Humira) 글로벌 마켓 쉐어 – 오리지널 및 복제약 점유율 (출처 : 삼성 바이오에피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휴미라는 애브비의 대표 상품입니다. 자가면역질환이란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이 아니라 정상 세포 혹은 자신의 항원을 적으로 인지하고 공격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며, 휴미라는 이를 치료하는 제품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류머티즘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등 15가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2012년 ~ 2020년까지 휴미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약이었을 정도로, 연간 20조라는 어마어마한 매출을 보여주었는데요. 최근 2023년에 휴미라가 특허가 만료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제약회사들이 바이오시밀러(복제약)를 만들고 있습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제시한 휴미라 글로벌 마켓 쉐어를 보면 100%에 가깝던 오리지널 휴미라의 점유율이 77%까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애브비는 휴미라 특허 만료로 인한 매출 감소를 스카이리치와 린보크 등의 차세대 제품으로 보완하며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워낙 유명한 글로벌 제약회사라 포트폴리오에 넣어도 큰 지장이 없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그래도 앞으로의 매출과 성장이 어떻게 될 지 관망하며 비중을 늘리는 방안이 괜찮을 것 같습니다.



[5] 배당, 주가, 재무 정보

주가 : $179.84 (26만 1,691원)
연간배당금 : $6.56
연간배당률 : 3.65%
3년 평균 배당성장률 : 6.04%
배당 성향 : 273.33% (일시적으로 높은 듯)
배당 월 : 2, 5, 8, 11
배당 성장연수 : 53년

[5-1] 배당정보

그림 4. 애브비(ABBV)의 배당이력 – https://seekingalpha.com/symbol/ABBV/dividends/history
그림 5. 애브비(ABBV)의 배당이력 – https://seekingalpha.com/symbol/ABBV/dividends/history


애브비(ABBV)의 배당 지급 이력은 위와 같습니다. 주가는 $179로 약 20만원 수준이며 분기별 배당금은 현재 $1.64로 연간 배당금은 $6.56입니다. 연간 배당률은 3.65%로 준수한 편인데 3년 평균 배당 성장률이 6.04%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시가총액이 400조나 되는데 이런 훌륭한 기업은 찾기 힘듭니다.

[5-2] 주가정보

그림 6. 애브비(ABBV)의 10년 주가 차트 – https://www.financecharts.com/stocks/ABBV/

애브비의 주가는 2015년에는 $62.29이었으나, 지속적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10년 후인 2025년 현재는 $175.05로 186% 상승했습니다. 2025년 3월에는 $214.29로 신고가를 경신하였는데, 이 때는 10년전 대비 무려 245.63%나 상승했습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는 아주 아름다운 차트를 보여줍니다. 2023년 휴미라의 특허 만료에도 불구하고 2년간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주가가 조정받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트럼프의 관세전쟁 때문인지 기업 악화인지 원인을 파악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림7. 애브비(ABBV)의 10년 PER – https://www.financecharts.com/stocks/ABBV/value/pe-ratio

10년 PER를 보면 2023년까지는 20 ~ 40 정도로 들쭉날쭉하다가, 2023년 이후로 계속 올라 70~80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ER = 주가/주당 순이익(EPS)이기 때문에 순이익이 감소했거나 주가가 올랐다는 뜻인데요. 주가가 2023년 이후 크게 오른 것을 보니 순이익은 그대로인데 기대감이 오름에 따라 고평가가 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현재 투자하기에 좋은 시그널은 아닌데, 재무 정보를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5-3] 재무정보

그림8. 애브비(ABBV)의 15년 매출액(Revenue) –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ABBV/abbvie/revenue
그림9. 애브비(ABBV)의 15년 영업순이익(Operating Income) –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ABBV/abbvie/operating-income
그림10. 애브비(ABBV)의 15년 자기자본 이익률(ROE) –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ABBV/abbvie/roe
그림11. 애브비(ABBV)의 3년 자기자본 이익률(ROE)

애브비의 매출은 2023년 휴미라 특허 만료 이후에 살짝 주춤하였으나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로 인해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 흐름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2023년 이후로는 영업이익(Operating Income)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① 휴미라(Humira) 특허 만료 및 매출 감소

애브비의 대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휴미라는 2023년 미국에서 특허 보호가 종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이 본격화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휴미라 글로벌 매출은 전년 대비 약 37.6% 감소한 89억 9,300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② 임브루비카(Imbruvica)의 매출 감소 및 손상 비용 반영

혈액암 치료제인 임브루비카는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약가 인하 대상 품목에 포함되었으며 이에 따라 매출이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애브비는 임브루비카의 손상 비용으로 21억달러를 배상했습니다.

③ 신약 개발 및 인수비용 증가

애브비는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해 신경과학 신약 개발사 세레벨 테라퓨틱스, 암 치료제 개발사 이뮤노젠,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사 알리아다 등을 인수하였습니다. 이러한 인수로 인해 마일스톤 지급과 관련된 비용과 연구 개발 비용이 증가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기사를 찾아보면, 휴미라가 매출감소를 하였으나 차세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스카이리치(Skyrizi)와 린버크(Rinvoq)의 매출이 2022년 280억원에서 2023년 486억원으로 성장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위해 여러 회사들을 인수하며 이러한 인수비용과 임브루비카의 손상비용 등으로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듯 합니다. 애브비의 3년치 자기자본 이익률(ROE)를 보면 40 ~ 80% 수준으로 여전히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6] 애브비(ABBV)에 대한 평가

애브비(ABBV)는 시가총액 400조에 달하는 글로벌 제약회사입니다. 대표적인 매출을 담당하고 있던 자가면역질환치료제 휴미라가 2023년 특허가 만료되면서 매출이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차세대 치료제인 스카이리치 및 린버크 등의 제품군의 매출이 성장하며 이를 상쇄하고 있습니다. 임브루비카의 손상 비용, 여러 기업들(세레벨 테라퓨릭스, 이뮤노젠, 알리아다 등)의 인수에 따라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애브비는 여러 전략들을 통해 휴미라의 매출 감소를 상쇄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이어가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큰 비중으로 투자하기에는 아직 휴미라 특허만료로 인한 매출 감소의 리스크가 남아있다고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트럼프가 미국 제약 부문에도 가파른 관세를 부가한 후 미국 제약업체의 주가가 광범위한 시장 매도세 속에 하락하며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조정 받고 있을 때 일부 분할 매수를 하고, 앞으로 애브비의 매출과 성장을 장기적으로 지켜보면서 분할매수로 비중을 늘려나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본 포스팅은 개인공부/정보공유 차원에서 작성되었으며 판단은 각자의 몫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Leave a Comment